해양교육포털

이전으로

해상왕 장보고

홈으로

세계화와 동북아시대의 사표

9세기 청해진은 동북아의 허브항이자 국제무역센터

동아시아를 하나의 세계로 바라본 장보고는 청해진을 중심으로 중국과 일본의 주요항구를 무역과 물류 중심의 네트워크로 연결시키고 이를 동남아 인도항로와 연결함으로써 동서 무역망을 하나로 묶는데 성공하였다. 이는 오늘날 국제특송인 DHL이나 페덱스에 버금가는 종합물류망과 교역망을 구축한 획기적인 사건이었다.

한반도는 동북아시아의 전략적 관문

동북아는 세계에서 가장 역동적으로 발전하고 있으며, 한반도는 세계 제2의 경제와 기술 부국인 일본과 세계 최대 잠재시장이자 세계의 제조창인 중국, 21세기 에너지와 자원 강국으로 부상하고 있는 러시아의 한가운데 위치하고 있고 지리적으로 대륙의 장점과 해양의 이점을 한꺼번에 살릴 수 있는 동북아의 경제적 요충지이며 전략적 관문이다. 또한 한국은 인적 자원이 우수하고 IT, BT 녹색산업 등에 높은 기술력을 보유하고 있어 동북아시대의 주도국으로서 손색이 없다. 따라서 우리의 지정학적 위치와 여건을 활용하여 부산, 광양, 인천 등을 제2의 청해진으로 만들어 동북아의 물류와 비즈니스센터로 발전해야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