해양교육포털

이전으로

해상왕 장보고

홈으로

장고보의 해상활동 연표

해상활동 연표
790년경
(원성왕)
전남 완도에서 출생(정확한 연도는 알 수 없으나 입당 시 연령을 감안한 추정)
805년경
(애장왕)
장보고와 정년 입당(入唐) 추정
807년경
(애장왕)
무령군 입대
819년
(헌덕왕)
이사도난 진압, 장보고·정년 종군하여 큰 공을 세운 것으로 추정
819년경
(헌덕왕)
장보고 무녕군 소장이 됨
820년경
(헌덕왕)
무녕군을 떠남
824년
(헌덕왕 16년)
적산 법화원 창건
828년
(흥덕왕 3년)
장보고 신라 귀국. 청해진 설치. 흥덕왕(興德王)으로부터 청해진 대사로 임명
837년
(희강왕 2년)
왕권 다툼에서 패한 김우징(金祐徵)은 김양(金陽) 등과 함께 청해진으로 피신
838년
(민애왕 1년)
김우징의 요청으로 장보고가 군사 5천을 지원(12월), 무주군 철여현(나주군 남평면)에서 민애왕 군사 격퇴
839년
(신무왕 1년)
장보고의 도움으로 김우징이 신무왕(神武王)에 등극(1월), 장보고를 감의군사(感義軍使)로 봉하고 식읍(食邑) 2,000호 하사.
신무왕 즉위 6개월 만에 병사(7월)
839년
(문성왕 1년)
문성왕(文聖王) 장보고를 진해장군(鎭海將軍)으로 봉함
841년
(문성왕 3년)
장보고 염장(閻長)에 의해 암살(暗殺)됨(50세 전후일 것으로 판단), (삼국사기에는 846년으로 기록되었으나 이는 잘못임)
851년
(문성왕 13년)
청해진 폐쇄. 청해진 주민 벽골군(碧骨郡, 지금의 김제)으로 강제 이주
장보고의 동북아 네트워크 :9세기 동북아시아에 흩어진 한민족을 하나로 통합하여 효율적이고 체계적인 무역과 정보 네트워크를 구축함 으로써 한·중·일은 단일 경제권을 형성

21세기 장보고의 부활을 꿈꾸며

21세기는 해양의 시대, 동북아의 시대라고 합니다.

세계 경제위기 속에서 더욱 빛을 발한 동북아의 경제가 세계의 주목을 받고 있습니다. 이제 우리는 한반도라는 좁은 울타리에서 벗어나 동북아 중심의 세계 질서 재편에 적극 참여해야 할 때입니다.

9세기 장보고는 청해진을 중심으로 한·중·일을 단일 경제공동체로 만들었으며, 세계와 통하는 해상무역항로를 새롭게 개척하고 무역은 물론 불교, 도자기, 차 문화 전파 등 동서 문화교류에도 큰 업적을 남긴 진정한 세계인입니다.

이러한 장보고의 해양경영 업적은 오늘날 급변하는 세계 경제에 성공 적으로 대처하고 준비하는데 중요한 사표가 되며, 이를 우리의 발전 모델로 만드는 것은 미래를 위해 무엇보다도 중요하다 하겠습니다.

오늘날 세계 경제의 중심으로 부상하는 동북아시아, 그 한 가운데 우뚝 서는 것은 우리가 해상왕 장보고의 부활을 꿈꾸는 이유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