해양교육포털

이전으로

해양역사

홈으로
제3공화국 이후 박정희 대통령의 강력한 의지로 해양중심의 개방적인 경제개발정책이 본격적으로 추진되며, 자립경제의 기반을 마련하고 매년 10% 이상의 고도 경제성장을 이룰 수 있었다. 1961년 제1차 경제개발5개년계획 실행과 1963년 해상운송산업법 제정, 1967년 제2차 경제개발5개년계획과 조선공업진흥법, 해운진흥법 제정 등을 통해 해운과 항만 그리고 조선산업을 발전시키고 전략산업으로 육성하기 위한 노력을 계속해 왔다.

우리에게는 수출은 국가경제 발전과 국민소득 수준 향상을 위해 반드시 필요한 것이었다. 특히 부존자원이 부족한 우리나라는 원자재를 수입하여 이를 각종 상품으로 가공하여 재수출해야 했는데 이를 위해 반드시 필요한 것이 바로 선박과 항만이었다. 박정희 대통령은 원활한 원자재의 수급과 상품 수출을 위해 ‘우리 상품은 우리 배’로 수출한다는 목표를 세우고 본격적으로 관련 산업을 육성하였다.

1961
The Republic of Korea│Implementation of the first Economic Development 5-year Plan(~1966)
After the 3rd Republic, as the ocean-centered open economic development policy was promoted in earnest on the strength of President Park Jung-hee's strong will, Korea could arrange the base of a self-supporting economy and achieve a high-degree economic growth by 10% every year. Through implementation of the first economic development 5-year plan in 1961, the 2nd economic development 5-year plan in 1967, and enactment of the Shipbuilding Industry Promotion Act, Shipping Promotion Act, etc., Korea developed ports and shipbuilding industry and has continued its efforts to cultivate the shipbuilding industry as a strategic industry.

To Korean people, export was a must-have for development of the national economy and improvement in national income level. Particularly, Korea, which is short of natural resources, had to resort to re-export by processing the imported raw materials into all sorts of goods; what we were really in need of were the very ship and port. President Park Jung-hee cultivated related industries in earnest by setting up a goal "We export our goods by our ship" for smooth demand & supply of raw materials and export of goods.
이전글
[1957년] 대한민국 - 지남호 참치시험조업 성공
다음글
[1963년] 대한민국 - 해상운송사업법 제정
목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