해양교육포털

이전으로

해양역사

홈으로
이승만 대통령은 역대 그 어떤 대통령보다도 우리 해양영토의 확보와 수호를 위해 노력하였다. 1948년 8월 18일 대마도 반환촉구 성명을 발표하는가 하면 1949년 1월 7일 내외신 기자들과의 연두회견에서도 ‘대마도는 오래전부터 우리나라에게 조공을 바쳐온 속지로 임진왜란을 일으킨 일본이 무려강점한 뒤 일본 영토가 됐으며, 이때 결사 항전한 의병들의 전적비가 도처에 있다.’며 대마도가 우리 땅임을 전격 선언했다. 10여 일 뒤에는 31명의 우리 국회의원이 대마도 반환촉구결의안을 국회에 제출해 일본을 압박하기도 했다.

또한 6.25전쟁이 한창이던 1952년 1월 18일에는 일본 등 주변국으로부터 대한민국의 연안수역 보호를 위해 ‘평화선선언’ 즉 ‘대한민국 인접해양隣接海洋의 주권에 관한 대통령의 선언’을 발표하였다.

이 평화선(이승만라인이라고도 한다)은 해안에서부터 평균 60마일에 달하며, 이 수역에 포함된 대륙붕과 광물 등 각종 자원을 보존하기 위하여 설정한 것으로, 어선 척수와 어업기술이 월등한 일본과의 어업분쟁 가능성을 사전에 봉쇄하고 공산세력의 연안침투방지는 물론, 세계 각국의 영해 확장에 대처하기 위한 것이었다. ‘대한민국 인접해양의 주권에 대한 대통령 선언’으로 의결을 거쳐 국무원 공고 제14호로 선포하였다. 평화선은 유엔군사령관 클라크(Clark,M.W.)가 북한의 침투를 막고 전시밀수출입품의 유통봉쇄를 위해 선포한 해상방위수역인 ‘클라크라인’에 거의 그대로 반영되어 계승되었다.

평화선을 선포한 이유는 6.25전쟁의 혼란을 틈탄 일본 어선의 불법어업이 성행한 것에 자극 받아 명확한 수역 구분을 통해 우리의 어업과 대륙붕 자원은 물론 영해 주권을 수호하기 위한 것이었다. 특히 평화선은 오늘날 배타적 경제수역과 비슷한 개념으로 독도를 대한민국의 영토로 포함하고 있어 그 의미가 크다고 하겠다.
1948
Establishment of ROK Government, President Rhee Syng-man issued a statement about Daemado(Tsushima) Territory
President Rhee Syng-man made more effort for securing & defending Korea's marine territory than any other president in history. On August 18, 1948, President Rhee announced a statement for urging Japan to return Daemado(Tsushima) to Korea, and even at a new year interview with domestic and foreign reports on January 7, 1949, President Rhee declared that Daemado belonged to Korea, saying, "Daemado has been a territory which paid tribute to our country for a long time, but regrettably, after Japan, which started the invasion of Korea in 1592, forcibly occupied it, Daemado happened to belong to Japan; there are not a few monuments here and there in honor of the meritorious combat records of the loyal troops who desperately fought with Japanese troops. 10 days after the presidential interview, 31 national assembly members also put pressure on Japan by submitting their resolution to the National Assembly, urging Japan to return Daemado to Korea.
In addition, on Jan. 18, 1953 when the Korean War was at its peak, President Rhee announced the 'Declaration of the Peace Line' i.e. President's Proclamation of Sovereignty over Adjacent Seas' in order to protect the coastal waters of the Republic of Korea.
The Peace Line(also called 'Rheesyngman Line') extends 60 miles on an average off the coast, and the Peace Line was set up in order to preserve all sorts of resources, such as the continental shelf and minerals, etc. included in these waters, to block the possibility of fishing dispute with Japan in advance whose fishery skills and number of ships in possession were much superior to Korea, to prevent Communist forces from infiltrating the coast and to cope with all countries' expansion of their territorial seas.
'President's Proclamation of Sovereignty over Adjacent Seas' was proclaimed through the Ministry of State Affairs' announcement No. 14 after going through the approval process. The Peace Line reflected almost all of the 'Clark Line' marking the marine defense water which was proclaimed by the UN Forces Commander, Clark, for blocking North Korea's infiltration and distribution of wartime smuggled articles.

The reason for proclaiming the Peace Line lies in guarding our fishery, the continental shelf resources and sovereignty over territorial seas through clear demarcation of waters, and the proclamation was sparked off by the Japanese fishing boats' illegal fishery by taking advantage of the confusion of the Korean War. Particularly, the Peace Line has the same concept as today's 'exclusive economic zone, and its significance is big in that the Line includes Dokdo as a territory belonging to the Republic of Korea.
이전글
[1945년] 대한민국 - 해방병단(海防兵團)창설
다음글
[1950년] 대한민국 - 6.25전쟁
목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