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 수톡 3회 도입 대본 안녕하세요 저는 오늘의 수요일엔 바다톡톡 도입 강연을 맡은 대구경북여성과학기술인회 이희정이라고 합니다 감사합니다 오늘은 호수의 초록 요정 마리모에 대해서 알아보고 산호초와 레고 어항 마리모 꾸미기를 하도록 하겠습니다 어린 친구들이 기대를 많이 하고 오셨을 것 같은데요 혹시 마리모를 본 적이 있는 사람은 한번 손들어 볼까요? 엄청 많네요 마리모는 어떤 모양을 가지고 있을까요? 다같이 대답해볼까요? 정답이에요 앞에 화면에 보이는 것처럼 동글동글한 모양을 가지고 있는데요 이 마리모에 대해서 마리모가 어디에서 발견됐는지 그 특징은 어떤지 그리고 광합성이라는 기능을 가지고 있는데 이 광합성의 기능은 뭔지 지금 연구되고 있는 연구는 무엇인지 그런데 이 마리모가 요즘 아프대요 아파서 숫자가 점점 줄어들고 있는데 그 이유는 뭔지 알아 본 다음에 우리 함께 마리모 어항 꾸미기를 해보도록 하겠습니다 마리모는 일본에서 처음 발견했습니다 일본 홋카이도의 아칸호라는 호수에서 발견됐는데 지도에 보면 빨간 별이 보이시나요? 홋카이도라는 지방의 호수인데요 이 호수는 조금 특별합니다 어떻게 생겼냐면요 화산이 폭발해서 분화했을 때 용암이 흘러 내려서 그 용암이 굳어지면서 만들어진 폐색호라고 해요 이 아칸호에는 마리모도 천연기념물이지만 그림 보이시나요? 몸통이 엄청 빨갛죠 그래서 홍연어라는 친구가 특별한 천연기념물로 지정되어 있어서 이 두 가지 생물을 잘 볼 수 있답니다 일본에서 발견된 이 마리모는 분류표를 보시면 녹색식물문에 속하는 녹조류인데요 호수에 살고 있어서 담수성 녹조류로 분류되고 있고요 이 친구는 추운 겨울에 이 호수에는 눈도 많이 내리구요 그리고 호수가 꽝꽝 얼어서 엄청 두껍게 얼고 있거든요 그래서 이렇게 얼면 수온이 일정하게 유지되긴 하지만 겨울에 호수의 물은 차가울까요? 뜨거울까요? 엄청 차가워요 하지만 보통의 식물들은 엄청 차가운 물에서 잘 살 수 있을까요? 없을까요? 없어요 우리도 추우면 영하 마이너스 10도에요 옷을 하나도 입고 있지 않아요 어떻게 될까요? 몸이 꽁꽁 얼어서 살 수가 없어요 근데 이 마리모는 차가운 온도에서도 잘 살 수 있어요 그래서 선생님이 있다가 키우는 방법을 말할 때 한가지 알려줄건데 대구에서는 30도 이상의 온도가 주로 나타나기 때문에 여름에 이 마리모를 잠시 식혀주기 위해서 여러분의 냉장고 속에 한 시간에서 세 시간 넣어주는 게 필요합니다 그래서 요렇게 차가운 데서도 살 수 있는 냉해저항성을 가지고 있고요 마리모는 두 가지 모습을 가지고 있어요 첫 번째는 여러분이 아시는 것처럼 동글동글한 구상체인데요 사실은 처음부터 구상체가 아니었어요 실 모양의 가느다란 실 모양의 사상체였는데 물길 따라 바람 따라 물살 따라 아니면 생물들이 이리저리 수초를 굴려주면서 동글동글한 모양을 띄게 되었다고 해요 이 친구는 몇 살까지 살 수 있냐면요 100살까지 살 수 있습니다 그런데 어떻게 해야 100살까지 살 수 있냐면 적절한 온도와 적당한 빛을 주어야지만 100살까지 살 수 있어요 100살까지 살 수 있지만 이 친구는 크기가 1년에 1년에 얼마나 자랄까요? 1년간 가장 많이 컸을 때 1cm가 아니라 5mm씩 큰다고 해요 근데 이 친구는 마리모는 여러분 식물이기 때문에 광합성이라는 기능을 가지고 있거든요 오늘의 광합성에 대해서 재밌는 사실을 한번 알아보려고 해요 여러 마리모가 광합성을 할 때 공기 중에 있는 이산화탄소랑 그리고 호수에 있는 물이랑 태양에서 오는 햇빛을 재료로 당과 산소를 만들어내요 그래서 마리모가 광합성을 아주 잘하면요 마리모 주변에 뽀글뽀글 뽀글뽀글 산소 기포가 생기거든요 그러면 어떤 일이 일어날까요? 마리모가 가만히 있다가 공기방울이 몸에 100개가 붙어요 그러면 마리모는 가만히 있을까요? 어떻게 될까요? 딩동댕동 광합성을 잘하는 마리모는 공기방울 산소가 뽀글뽀글 생겨서 몸을 감싸게 되면 몸이 가벼워져서 위로 뜨는 현상이 나타나게 됩니다 그래서 일본에서 처음에 이러한 과학적 사실을 잘 모르는 일반 사람들이 어떻게 생각했냐면요 어 얘가 기분이 좋은가보다 기분이 좋으니까 위로 둥둥 뜨나봐 이렇게 생각했는데 사실 여러분 기분이 좋은 게 맞겠죠? 광합성을 잘한다는 건 잘 자라고 있다는 증거이기 때문에 그래서 광합성을 통해 산소를 잘 발생하면 위로 뜬다는 사실을 알려드립니다 선생님이 실제로 영상을 한번 가지고 와봤어요 여러분이 오늘 체험을 하고 이제 집에서 100살까지 키워볼 텐데요 100살까지 키우는 동안 여러분이 잠잘 때 마리모가 뜰 수도 있고요 여러분이 학교에 갔을 때 뜰 수도 있고요 자주 볼 수 있는 현상이 아니라서 어떻게 뜨는지 선생님이 영상으로 한번 보여주도록 할게요 앞에는 마리모가 약 1000개 정도 있는 수조이구요 1000개의 수조에서 적절한 빛을 주어서 여러개의 마리모가 둥실둥실 뜨는 모습을 볼 수 있습니다 오른쪽은요 공기방울의 모습을 좀 더 자세히 보여줄 수 있어서 가져온 영상인데요 광합성을 잘해서 첫번째 지금 올라가고 있는 작은 마리모를 보면 주변에 산소 방울이 많이 있는 걸 볼 수 있죠 그래서 산소를 계속 머금으면서 위로 위로 올라가게 됩니다 여러분도 100살까지 키우면서 꼭 이 산소 방울로 올라가는 모습을 확인할 수 있길 바랍니다 지금 도쿄대에서 일본 도쿄대에서 마리모에 대해 계속 연구를 하고 있는데요 교수님이 생각을 한 거예요 어? 얘는 다른 식물들은 차가운 물에서 잘 못사는데 얘는 어떻게 해서 살 수 있지? 연구를 했더니 얼음이 중요한 원인이었습니다 아까 제가 설명드릴 때 이 호수가 겨울이 되면 눈도 굉장히 많이 오고요 강이 꽝꽝 두꺼운 두께로 얼게 되는데 그렇다면 이 때 빛이 겨울에 나오는 빛이 투과하는 율이 작게 됩니다 마리모가 강한 빛을 받지 않는다면 적절한 차가운 수온에서 강한 빛이 아니기 때문에 아까 광합성이라는 기능을 하는 그 기구가 영향을 받지 않게 되어서 저온에서 잘 자랄 수 있다고 합니다 여기서 중요한 점은 얼음이에요 얼음이 있어서 강한 빛을 받지 않기 때문이라는 사실이 중요한데 여러분 요즘 지구가 어떻게 되고 있죠? 점점 온도가 뜨거워지고 있어요 그걸 뭐라고 하는지 혹시 아나요? 정답 우리 어린 친구도 아주 잘 알고 있어요 지구 온난화가 일어나면서 얼음이 겨울에 눈도 적게 내리고요 얼음이 점점 얇아지고 있고 그 두께를 유지하는 시간이 짧아지다보니 마리모들이 강한 햇빛을 받게 됩니다 강한 햇빛을 받으면 광합성 기구가 영향을 받고 마리모가 갈색으로 타서 죽는 현상이 많이 발견되게 됩니다 그래서 실제로 일본에서 천연기념물로 지정과 동시에 현재는 멸종위기종으로 지정하고 있다는 사실 꼭 기억하시면서 우리가 지구 온난화에 대해 다시 한번 잘 생각해볼 문제라고 여러분께 알려드리고 싶습니다 그러면 마리모를 체험해 볼 텐데요 여러분 제가 재료를 재료부터 일단 확인해 보겠습니다 일단 레고 어항 또는 유리 어항이 있고요 그리고 자갈이 있고 그다음에 피규어 봉지 있고 그리고 초록색의 약 1cm 정도 되는 마리모가 있습니다 그런데 여기서 혹시 질문이 없을까요? 선생님이 아까 마리모는 멸종위기종이라고 했는데 우리가 가진 마리모는 사용해도 될까요? 그렇죠? 선생님이 불법을 저질러서 가져왔을까요? 네 일본의 아칸호에서 자라고 있는 아이는 가져올 수 없고요 불법입니다 일본에서 유사하게 양식으로 재배하고 있는 것이 있습니다 그래서 이거는 양식으로 재배한 마리모이기 때문에 걱정하지 않으셔도 되고요 요렇게 준비가 되었으면 먼저 유리이신 분들은 괜찮고요 레고 어항을 가지신 분은 뚜껑을 열어 주셔야 되는데 사진에서처럼 요렇게 분리가 됩니다 플라스틱 네모 모양과 투명한 유리가 분리되는데 아이들이 하기 조금 힘들 수 있습니다 어른분들도 빼내실때 조금 힘드실수도 있는데 투명한 수조 부분을 잡고 당기시면 잘 열릴 거예요 열어주시구요 그러면 이제 수조에 자갈을 먼저 부어주도록 하겠습니다 자갈 봉지를 열어서 자갈을 평평하게 깔아주세요 자갈을 평평하게 깔아주신 분들은 피규어가 아마 네 가지 정도 들어 있을겁니다 내가 원하는 대로 피규어를 꾸며 주세요 혹시 먼저 다 꾸미신 분들은 오늘 물을 넣진 않을 겁니다 물을 넣지는 않을 겁니다 이유가 있습니다 물을 넣지 않을 것이기 때문에 다 꾸미신 분들은 마리모 절대 넣으시면 안되고요 어항 뚜껑을 그대로 닫아 주시면 되겠습니다 물을 넣지 않는 이유에 대해 설명하면서 마리모 키우는 방법에 대해 상세히 알려드리도록 하겠습니다 이 마리모는요 100년의 수명을 가지고 있지만 엄청 예민한 친구예요 그래서 실제로 선생님이 수업을 해 봤을 때 일주일만에 아이가 녹색빛을 잃어서 더 이상 자라지 못하는 친구가 많았습니다 그래서 설명을 잘 들어주시고요 마리모는 여러분의 수돗가에서 받는 일반 수돗물이나 정수 이온으로 정수되는 정수물에는 살 수가 없습니다 물고기를 키우실 때도 정수기 물은 바로 넣어도 되지 않을까라고 생각하시지만 생물에게 필요한 적절한 이온이 걸러져서 나오기 때문에 옳지 않은 방법입니다 그래서 꼭 반드시 물고기 키우는 것과 같이 물을 하루 전에 받아서 24시간 두면 염소가 제거되거든요 염소가 제거된 물을 반드시 사용해야 됩니다 제가 어떤 곳에 가니까 아파트 주민분이 이런 말씀을 하셨어요 아파트 같은 경우에는 위에 수조 탱크에 물을 받아서 오랫동안 잠재되었다가 쓰기 때문에 염소가 일부 제거되어 있습니다 바로 써도 되지 않을까요? 라고 질문이 왔는데요 맞습니다 일반 수돗물보다는 염소가 제거되어 있지만 완벽하게 제거돼 있지 않기 때문에 반드시 오늘 집에 가셔서 물을 떠놓으시고 하루 동안 지난 다음에 그 물을 채워 주신 다음에 마리모를 넣어주시면 되고요 선생님 그러면 이 마리모는 물이 없는데 어떡하죠? 라는 질문이 있을 수 있겠죠 마리모는 꼭 물속이 아니라 하루 정도는 촉촉하게 젖어 있는 상태에서는 살 수가 있습니다 그래서 봉지 그대로 가져가시면 되고요 집에 온도가 너무 높다 싶을 경우에 냉장고에 한 시간이나 세 시간 사이 적절한 적절한 온도로 유지해주시면 되겠습니다 마리모를 키우는 적절한 온도는 20에서 23도 입니다 제가 여러 문건을 찾아 봤을 때 25도까지도 사실 살 수 있다고 되어 있는데요 한국에서는 24도 이상에서 갈변하는 현상을 많이 봤다고 해요 그래서 23도까지 온도를 유지 해주시구요 일주일에 한번 꼭 물을 갈아주셔야 됩니다 그리고 세 번째가 가장 중요합니다 아까 얼음 이야기 생각나시나요? 직접적인 빛에 노출될 경우에 마리모가 탄다고 표현합니다 갈색으로 변하게 되고요 일부분이 갈색이 변했을 경우에는 온도를 낮춰줘서 다시 재생이 가능하지만 전체적으로 갈변했다면 마리모는 더이상 살지 않은 것이라고 보시면 되겠습니다 직사광선을 피해서 창가에 두시면 위험합니다 햇빛이 직접적으로 오는 창가는 위험하시고 적당한 채광이 드는 그늘진 곳에 두셔야 됩니다 그렇다고 빛이 너무 없다면 광합성이 일어나지 않기 때문에 적절한 장소를 잘 택해주시기 바랍니다 그리고 마지막으로 네번째로 알려준 다음에 질문을 받도록 할게요 네번째로 마리모가 아픈 이유는 크게 두 가지가 있는데 색깔로 설명을 드리겠습니다 첫 번째는 갈색으로 변하는 경우가 있고 두번째는 백색으로 변하는 경우가 있습니다 그런데 이 두 경우 치료 방법은 알려 드리겠지만 제가 아까도 말씀드렸듯이 전체적으로 색깔이 변했다면 더이상 살 수 없다고 보시면 되고요 일부가 변하기 시작했다면 이 치료법을 사용해 주시면 돼요 갈색인 경우에는 제가 아까 뭐라고 했죠? 온도가 너무 높으면 갈색으로 변해요 라고 했죠 이럴때 온도를 내려주시는 방법을 이용합니다 냉장고 이용해주셔도 되고 냉장고 아니면 아이스팩 위에 수조를 올려 놓으셔도 됩니다 백색인 경우에는 수조의 수질 환경이 좋지 않아서 균에 감염 됐음을 의미합니다 그래서 소독의 의미로 천일염을 조금 넣어 주는데 양은 어느 정도하냐면 너무 많이 넣으면 안됩니다 너무 많이 넣으면 수질 자체가 바닷물처럼 되기 때문에 살 수 없고 2분의 1티스푼 정도 넣어주시면 됩니다 2분의 1티스푼을 맨날 넣는 건 아니고요 상황을 봐가면서 처음에 넣고 3일 정도 지켜보시고 그 범위가 줄지는 않아요 그 부분은 잘라내야 돼요 그 범위가 더 이상 커지지 않는다면 더이상 천일염을 넣어주시면 안됩니다 저한테 이런 질문이 있었어요 선생님 맛소금은 안될까요? 안됩니다 반드시 굵은 천일염만 가능하다고 되어 있습니다 그리고 감염된 부위는 반드시 그냥 사용하시던 가위가 아니라 알코올 솜으로 소독한 가위로 제거해주시고 그 가위는 다시 한 번 반드시 소독해주셔야 합니다 마리모에게 균이 감염됐다면 이 균은 여러분에게도 감염 될 수 있기 때문에 장갑을 끼시고 항상 유의하셔서 하시면 되겠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