네 안녕하세요 우리 친구들 다시 한번 인사할까요 안녕하세요 네 반갑습니다 선생님은 어린이 창의교육관에 과학 해설사 김혜정이라고 합니다 오늘 우리 친구들이랑 또 바다 이야기 그 중에서 오늘 선생님 오늘 선생님 차 타고 오면서도 이 남항대교 지나면서 많이 봤는데 우리 영도 주변에 배가 굉장히 많죠 네 그래서 오늘 그 배에서 찾아보는 동물 이야기 만날 건데 오늘 제목 한번 읽어 볼까요 저기 위에 선박에서 네 우리 오늘 배에서 돌고래를 찾아볼 거예요 여러분 배에서 돌고래 찾을 수 있을까요 네 오늘 선생님이랑 하고나면 우리 친구들 이제 배를 보면 돌고래가 떠오를 거예요 그래서 오늘 우리 친구들 재밌게 시작해 봅시다 자 시작하기 앞서 선생님이 선박이라고 했어요 선박 배죠 우리 배는 무엇일까요 자 손 들고 증기선 또 어 우리 친구 자 또 우리 저기 뒤에 있는 친구 얘기해 볼까요 응 크루즈도 있어요 네 또 어 우리 여자친구 유람선도 있어요 네 우리 남자친구까지 배 배에요 배는 뭘까요 이번에는 어떤 배를 얘기하지 말고 배 선박이란 무엇일까 우리 친구 맞아요 선생님이 원하는 답이 우리 친구한테서 나왔어요 자 우리 한번 어떤 건지 볼 건데요 자 선박 한번 읽어 볼까요 선박 사람이나 짐을 실고 네 맞아요 우리 사람이나 짐을 실고 이동하는 수단이기도 한데 사실은 수단이 이것뿐만이 아니에요 우리 친구들이 보면 어떤 게 있냐면 짐을 실고 다니는 우리 주위에 굉장히 많은 화물선 컨테이너 선박들도 있고요 그리고 사람들이 이동할 때 우리 제주도나 이런 데 갈 때 배 타고 가는 것도 있어요 그죠 이런 여객선이라는 것도 있고요 또는 스포츠나 레저 문화를 즐길 수 있는 요트 크루즈 같은 것도 있어요 그리고요 저기 멋지게 보이는 어 맞아요 군함 전함 또는 특수선이라고 하는데 어 잠수함도 포함돼요 그죠 그리고 연구선들도 있어요 이렇게 다양한 선박이 있는데 오늘 선생님이랑 만나 볼 배는 어 바로 컨테이너 선박이에요 이런 배 본 적 있죠 여기에서 우리 돌고래를 찾아볼 건데요 자 이제 돌고래를 찾기 위해서는 우리가 돌고래에 대해서 잘 알아봐야 돼요 자 돌고래 좋아하나요 어 우리 돌고래는요 사람들이랑도 굉장히 친해요 그리고 초음파를 이용해서 사물을 구분하고 그리고 돌고래들끼리 소통을 해요 그리고 같이 무리 지어서 잘 다니는데 어 돌고래는요 고래랑 이런 것들을 구분할 때 선생님이 작년에 와서 한번 수업했었는데 우리 6학년 친구들 기억나나요 고래 구분 어떻게 했죠 수염이 있는 고래와 이빨이 있는 고래 크게 두 개로 나눈다 그죠 돌고래는 그럼 어디에 속할까요 그렇죠 우리 이빨 고래 돌고래는요 물고기를 사냥을 하거나 그죠 그렇게 해서 잡아먹고 수염 고래는 흰 긴 수염고래라든지 혹등고래라든지 물을 끌어드려서 걸러서 안에 있는 새우나 크릴이나 이런 것들을 먹는 고래들을 말하는데요 자 그러면 선생님 또 퀴즈 낼게요 자 돌고래가 강이나 바다에서 사는 거 보니까 물고기인 거 같아요 아 우리 친구들 이제 선생님이 5 4 3 2 1 세면 우리 친구들 머리 위로 O X 해 봅시다 자 돌고래는 물고기다 O X 뭘까요 X 한 친구도 있고 맞나요 O 한 친구도 있어요 자 어 잘했어요 내려 볼게요 정답은 엑스 어 왜 X 일까요 우리 이거 얘기해 볼 친구 까만 옷 입은 친구 먼저 손든 친구 어 포유류예요 포유류인 증거가 뭐가 있을까 맞아요 새끼를 낳아요 어 정말 잘하고 있어요 네 올라와서 숨을 쉰다 오 정답이에요 오 잘했어요 자 우리 돌고래는요 고래 종류예요 그죠 해양포유류 라고 하는데 우리 친구들이 답을 너무 잘 맞춰줬어요 우리 고래가 숨을 쉰다 그죠 올라와서 숨 쉬는데 우리 고래 한번 왜 포유류인지 찾아볼 건데요 돌고래가요 위에 뭐가 있어요 저 위에 있는 게 뭘까요 콧구멍 어 콧구멍이에요 사실은 우리처럼 콧구멍에 있다는 얘기는 폐로 숨을 쉰다는 얘기예요 그래서 물에서 다니다가 물 속에 있다가 위로 올라와서 숨을 쉬는데 위에 저렇게 우리가 앞에 있는 거랑 다르게 위로 물에 떠서 빨리 숨을 쉴 수 있게 위로 나 있어요 그리고요 오른쪽에 있는 그림 보면 사진 보면 숨 쉬는 증거가 보이죠 뽀글 뽀글 뽀글 거품이 나고 있어요 음 고래는 아주 깊은 곳에 있다가 올라와서 숨을 쉬기 때문에 이렇게 물이 나오는 것처럼 숨 쉴 때 세게 분기공에서 확 올라오는 게 있지만 돌고래는 그렇게 깊이 잠수하지 않기 때문에 저렇게 뽀글뽀글 숨 쉬는 거 거품처럼만 보이는데요 선생님이 또 다른 사진을 하나 보여 드릴게요 포유류 라는 증거 인데요 자 고래는요 오 우리가 딱 엑스레이를 찍어 봤더니 저렇게 화석이라던지 요런 걸 봤을 때 앞다리 지느러미처럼 보였는데 분명히 지느러미였는데 그죠 엑스레이를 보니까 뭐가 있죠 네 다리가 있어요 돌고래 고래 종류는요 육상에서 살다가 바다로 돌아간 해양포유류 입니다 그래서 아직 다리에 흔적이 남아 있어요 자 그러면 우리 표로 한번 비교해 볼까요 고래 종류 돌고래예요 그죠 호흡은 패로 하고요 물고기는 그 대신 어류는 아가미로 하죠 자 그리고 수영을 할 때요 고래는 어떻게 헤엄치죠 우리 손으로 해 볼까요 네 척추와 꼬리 지느러미를 위아래로 상하로 움직여요 왜냐면 상하로 움직이면서 빨리 올라와서 여기 위에 있는 콧구멍으로 슴 쉬려고 물을 박차고 올라갑니다 그런데 상어나 이런 어류들은 어떻게 헤엄치죠 좌우로 그죠 자 그리고요 번식을 할 때 우리 고래 종류들은 새끼를 낳아요 그래서 포유류라고 하고요 어류는 알을 낳아서 번식을 하죠 그리고 돌고래는요 고무처럼 촉감이 이렇는데 돌고래 피부에는 기름 지방층에서 기름이 살짝 흘러나와서 물에 마찰력을 줄여주면서 헤엄을 굉장히 잘 쳐요 그런데 어류는 비늘이 있어요 그죠 이런 차이점이 있는데 돌고래는요 그럼 육상에서 이제 바다로 간 포유류라고 했잖아요 그러면 이 친구들 이름은 어디에서 시작되었을까 오 뚱딴지같이 돼지에서 출발했어요 이름은 왜냐면 중국에서는 해돈이라고 돌고래를 불렀는데 바다에 돼지라고 불렀어요 왜냐면 돌고래가 보세요 주둥이가 꼭 돼지 주둥이처럼 툭 튀어나왔다고 해서 바다의 돼지라는 이름을 갖고 있는데 그 해돈에서 돈 고래에서 우리나라에서는 돗이란 이름을 붙여서 발음하기 어려우니까 이게 돌고래가 되었다고 그렇게 유래되고 있어요 그런데어 우리 돌고래는요 지금 육상에서 있을 때 가장 지금 비슷하게 있는 친구가 남아 있는데 우리 친구들도 알고 있어요 물 속에서 이렇게 다니는 친군데 물 먹는 그렇죠 가장 가까운 조상이 가장 가까운 조상 종류가 하마예요 하마랑 가장 비슷하고요 다리가 말발굽처럼 이렇게 발굽이 있는 동물들을 유제류라고 하는데 어 짝수로 있는 걸 우제목이라고 해요 그래서 이런 친구들은 같은 종류예요 어 그러면 고래는 우제목에 속하는 이런 하마와 같은 종류다 이렇게 우리 친구들이 보면 되겠습니다 자 그리고요 우리 돌고래처럼 안 생겼는데 돌고래와 비슷한 친구들을 만나 볼게요 일각고래 라고 하는데 요런 친구 본 적 있어요 네 요즘 영상이나 이런데도 많이 나오는데요 유니콘 닮았죠 북극에서 만날 수 있는 돌고래인데 어금니가 이렇게 뿔처럼 변한 거예요 그런데 수컷만 가지고 있습니다 그리고 또 특별한 돌고래가 있어요 하얀색 피부를 가진 맞아요 벨루가 이지요 네 벨루가도 북극 지방에서 만날 수 있습니다 그런데 이번에는 우리나라에서 만날 수 있는 특별한 돌고래를 볼게요 상괭이 어떻게 알았어요 어 우리나라에서 멸종위기종인 상괭이가 있는데요 부산바다에도 가끔씩 나타납니다 그래서 사천이나 이런 곳에서 보호종으로 정해서 특별하게 보호하고 있는데요 웃는 돌고래라고 하죠 네 상괭이는 우리 가덕도나 오륙도 바다에도 한번씩 올라옵니다 자 그러면 이제 본격적으로 우리 돌고래를 알아봤으니까 배에서 돌고래 찾아볼까요 찾을 수 있겠죠 자 여기서 찾아봅시다 우리 배가 나아가는 앞부분 방향을 선수라고 하고요 끝쪽을 선미라고 해요 자 그러면 우리 돌고래 닮은 부분을 찾아볼게요 어디 있을까 응 어디 있을까 이야 역시 우리 해양 수업을 듣고 있는 청학초등학교 친구들 맞아요 선수 그죠 선수 쪽에 뭔가가 뽈록 나와 있죠 네 여기가 돌고래 모양을 닮았습니다 근데 닮기만 한 건 아니에요 이 부분을 구상선수라고 해요 뭐라고 한다고요 네 구 자는요 동그랗한 얘기예요 농구 배구할 때 동그란 공 있죠 네 그 구 자고요 상자는 모양 상 자예요 구상선수는요 아까 배가 나아가는 앞부분을 선수라고 했죠 그 선수 아래 부분에 동그랗게 공처럼 만들어 놓은 것을 구상 선수라고 해요 본 적 있어요 혹시 어 선생님이 오늘 배 타고 이렇게 들어오는 큰 컨테이너 선박을 보니까 살짝 가려서 안 보이지만 물 속 아래쪽에 수면 아래에 있겠지만 저 아래쪽에 빨간 부분에 저렇게 동그란 게 보였어요 우리 컨테이너 선박에 주로 구상선수를 많이 저렇게 모양을 만드는데요 만드는 이유는요 배가 나아갈 때는 굉장히 많은 저항을 받아요 물 속에서도 저항을 받고요 그리고 공기에 저항도 받아요 근데 이 저항을 받는 힘이 많이 드는 거는 우리 좋을까 안 좋을까 안 좋겠죠 힘이 든다는 얘긴 뭐예요 힘이 뭘까요 어 그렇지 누가 얘기했어요 오 딩동댕 어 에너지라고 합니다 힘은 에너지인데요 힘이 많이 들면요 에너지가 많이 쓰인단 얘기죠 연료를 많이 쓴단 얘기예요 그러면 배에 연료가 많이 들면 어 돈도 많이 들겠고 그죠 그리고 배가 만들어 내는 다니면서 연료를 태우면서 만들어 내는 많은 환경오염 물질들이 있을 거예요 그런 물질들도 많이 나온다는 얘긴데 이걸 줄이기 위해서 구상선수라는 거를 달아요 자 그러면 지금 한번 배 볼까요 앞쪽으로 배가 나갈 때 뭐가 보여요 밑쪽에 파도처럼 저항이 생기는 거 보이나요 이런 파도를 줄이기 위해서 다는 게 구상선수인데요 자 선수에 이렇게 파도가 물결무늬로 생겨요 그러면 이 파도를 없애기 위해서 앞쪽에 구상돌기라고 하는 우리 구상선수라고 배웠죠 방금 이 구상선수로 파도를 하나 더 만들어 주면 서로서로 충돌하면서 꼭 파도가 안 생기는 것처럼 그런 효과를 볼 수가 있어요 선생님이 새벽에 수영을 하는데요 선생님 앞에 있는 사람이 수영을 막 하면서 파도를 이렇게 갈라 주고 가면 선생님 뒤에서 조금 수월하게 편하게 가요 그런것 처럼 배도 앞에서 파도를 만들고 있을 때 다른 게 먼저 파도를 만들어서 두개를 부딪히게 하면 그러면 힘이 덜 든다는 얘기예요 자 그러면 우리 요런 걸로 구상선수라는 걸 알아봤는데요 자 선박에서 이제 찾을 수 있겠죠 찾을 수 있겠죠 우리 돌고래 닮은 저 부분이 뭐라고 했다고요 우리 친구들은 이제 알았으니까 영도의 청학초 친구들은 배를 보면 누구한테든 자신 있게 저기 나온 거 뽈록 혹처럼 생긴 건 구상선수야 하고 알려줄 수 있어야 돼요 자 지금 이 사진을 선생님이 계속 보여 드린 게 우리나라 현대 상선이라고 배를 어 움직이는 큰 곳이에요 화물선을 많이 운영하는 곳인데 여기에서 돌고래 모양으로 조금 더 성형을 했대요 모양을 좀 더 돌고래에 가깝게 그랬더니 에너지도 절약하고 그리고 비용도 절약하고 아주 효과적으로 보고 있대요 자 우리가 이렇게 자연에서 많은 좋은 이로운 것들을 찾아낼 수 있는데 이걸 생체 모방이라고 합니다 뭐라고 한다고요 생체모방의 기술은 굉장히 다양한데요 우리 바다에는 아주 다양한 동물들이 살고 있어요 선생님이 오늘은 돌고래 이야기만 했지만 여기 말고도 엄청나게 많은 바다 생물들은 우리에게 과학적으로 이로운 것들을 많이 알려 주고 있어요 우리 친구들이 좀 더 관심을 가지면 더 좋은 사회를 만들 수 있겠죠 그죠 그러면 선생님이 이제 마지막 퀴즈 한번 내 볼게요 자 우리 친구들 잘 하는가 한번 봅시다 어어 선생님이랑 굉장히 오늘 짧지만 바다 이야기를 살펴봤고 바다가 소중하다는 걸 우리 친구들이 알았으면 좋겠는데 돌아오는 5월 30일은 특별한 날이기도 해요 무슨 날인지 아는 친구 오 바다의 날 그죠 우리 친구들 어떻게 알았을까요 네 5월 30일은 무슨 날 저기 있는 우리 육학년 친구들도 무슨 날 네 꼭 기억해 주세요 우리가 이렇게 소중한 바다의 날을 지정한 이유는 바다와 그리고 해양개발의 중요성을 알리기 위해서 정해 놓은 날인데요 바다의 장보고 있죠 아나요 우리 친구들 네 장보고가 청해진을 세운 날이기도 해요 그죠 그래서 우리 친구들이 앞으로 많은 해양 이야기도 듣고 하겠지만 우리가 몸소 아주 중요한 바다에 대해서 잘 이해하고 그리고 우리 친구들이 할 수 있는 것들은 조금씩 바다를 지키기 위해서 실천해 나가면 좋겠습니다 자 선생님이랑은 여기까지 하고요 우리 또 본 강연에 아주 좋은 말씀 하시러 선박 이야기를 가지고 오실 거예요 자 선생님 하고는 여기서 마칠게요 우리 감사합니다로 인사 마칠게요 자 준비 인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