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90년경 (원성왕) | 전남 완도에서 출생(정확한 연도는 알 수 없으나 입당 시 연령을 감안한 추정) |
---|---|
805년경 (애장왕) | 장보고와 정년 입당(入唐) 추정 |
807년경 (애장왕) | 무령군 입대 |
819년 (헌덕왕) | 이사도난 진압, 장보고·정년 종군하여 큰 공을 세운 것으로 추정 |
819년경 (헌덕왕) | 장보고 무녕군 소장이 됨 |
820년경 (헌덕왕) | 무녕군을 떠남 |
824년 (헌덕왕 16년) | 적산 법화원 창건 |
828년 (흥덕왕 3년) | 장보고 신라 귀국. 청해진 설치. 흥덕왕(興德王)으로부터 청해진 대사로 임명 |
837년 (희강왕 2년) | 왕권 다툼에서 패한 김우징(金祐徵)은 김양(金陽) 등과 함께 청해진으로 피신 |
838년 (민애왕 1년) | 김우징의 요청으로 장보고가 군사 5천을 지원(12월), 무주군 철여현(나주군 남평면)에서 민애왕 군사 격퇴 |
839년 (신무왕 1년) | 장보고의 도움으로 김우징이 신무왕(神武王)에 등극(1월), 장보고를 감의군사(感義軍使)로 봉하고 식읍(食邑) 2,000호 하사. 신무왕 즉위 6개월 만에 병사(7월) |
839년 (문성왕 1년) | 문성왕(文聖王) 장보고를 진해장군(鎭海將軍)으로 봉함 |
841년 (문성왕 3년) | 장보고 염장(閻長)에 의해 암살(暗殺)됨(50세 전후일 것으로 판단), (삼국사기에는 846년으로 기록되었으나 이는 잘못임) |
851년 (문성왕 13년) | 청해진 폐쇄. 청해진 주민 벽골군(碧骨郡, 지금의 김제)으로 강제 이주 |